안녕하세요~ 즐거운 대화를 위한 커뮤니티, 패밀리타운의 행복왕! 레옹이에요😄
레옹이 얼마 전에 선크림이 '똑'하고 떨어져서 선크림 리뷰 영상을 좀 보고, 쇼핑을 봤는데요. 어느 순간 레옹이 보는 모든 앱에서 '선크림' 관련 정보가 무서울 정도로 계속 뜨기 시작하는 거예요!
그렇게 선크림 척척박사가 된 레옹, 근데 그러다 보니 다른 콘텐츠는 언제 뜨지?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선크림에는 척척박사가 됐지만, 다른 정보도 중요하잖아요?
혹시 여러분은 그런 적 없으신가요? 플랫폼에서 추천하는 콘텐츠가 좋지만, 바보가 되어 버릴 것 같은 기분!
근데 이런 현상을 '필터버블(filter bubble)'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필터버블(filter bubble)이란 무엇인지,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한번 알아봐요!
필터버블(filter bubble)이란?
필터버블은 ‘알고리즘 필터로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 골라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거품 안에 갇히는 현상’이라는 뜻인데요. 각종 IT 플랫폼은 사용자를 계속 잡아두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추천 알고리즘'(필터)을 강화하기 시작했고, 사용자는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계속 선호하던 정보를 접하면서 다른 정보는 접하기 어렵게 됐죠. 이를 필터(알고리즘)+버블(거품, 막)로 표현한 신조어입니다.
필터버블(알고리즘)의 장점
'나도 잘 모르던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일 것 같아요. 예를 들면 그런 건데요. 어떤 노래가 좋아서 한 노래를 들었을 때 보통은 '이런 노래가 또 있나?' 싶은 생각이 들죠. 그럴 때 알고리즘이 '비슷한 장르의 노래', '그 가수의 다른 노래, 라이브 버전', '이 노래를 좋아하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노래' 등을 추천해 주는 거예요! 실제로 이런 형태의 서비스들은 많고 단순히 '인기 있는 콘텐츠'가 아닌 다른 콘텐츠에 대한 소비 역시 늘어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죠.
필터버블의 단점
'취향에 맞는 콘텐츠만 편식'할 수 있다는 게 단점이에요. 단순히 취향의 문제를 넘어선 '뉴스'같은 콘텐츠의 경우 그러한 문제점이 더 심해지는데요. 이를테면 'A 현상에 대한 비판적인 뉴스'를 보고 ‘좋아요’를 누른 사람에게 계속 'A에 대해 비판하는 뉴스'만이 뜨게 되는 거예요. 이렇게 계속 하나의 정보만 접하게 되면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강해지게 되고, 필터버블에 갇혀 계속 이런 정보만 접해서 다른 의견은 듣지 않게 되는 거죠. 반대되는 취향, 반대되는 의견을 계속 접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래서 편리하지만, 위험한 일입니다.
필터버블 벗어나기
- 뉴스레터 등 다양한 정보 매체로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키우기
필터버블로 접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되면서 몇 년 전부터는 다시 '뉴스레터'가 뜨기 시작했어요! 중요도에 따라 정리한 콘텐츠를 보면서 다른 정보들을 접하게 되는 거죠. 물론 이러한 정보 또한 편향될 수는 있지만, 출처가 불분명한 정보보다 출처가 분명한 양질의 정보를 제공받고, 여러 개의 정보를 조합하면서 개인의 '디지털 문해력'을 높일 수 있어요.
- 쿠키 및 재생목록 등 초기화하기
GDPR에 대해 혹시 들어보셨나요? EU에서 데이터를 보호하는 규정으로 정보 수집 시 사용자에게 고지하고 동의를 받도록 하는 규정이에요. 인터넷 데이터의 경우 대부분 사용자의 쿠키, 행동 양식 등을 기반으로 관심사를 추천하게 되어있는데요. 한국은 아직 이런 규정이 적용되어 있지는 않지만, 데이터 수집에 반대를 누르는 방법이나 인터넷의 쿠키 삭제 등을 통해 플랫폼에서 알고리즘을 활용하지 못 하게 할 수 있어요.
어떤 사이트에서 상품을 본 후 그 광고가 계속 따라다녔던 경험 있으시죠? 쿠키를 삭제하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종종 인터넷 브라우저의 쿠키 등을 한번은 삭제해 주세요.
또한, 아깝지만 너튜브 등의 영상 플랫폼의 경우 재생목록을 한번 삭제해 주세요! 재생목록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플랫폼의 경우 재생 목록을 삭제하면 알고리즘을 다시 쌓아야 해서 기존 영상과는 다른 영상 등을 접할 수 있습니다.
'알 수 없는 알고리즘이 나를 이끌어서~'하는 댓글 보신 적 있나요? 알고리즘을 통해 엄청난 히트를 일으킨 콘텐츠도 있고, 역주행한 콘텐츠 등 알고리즘은 좋은 영향을 끼치기도 하지만 본인의 냉정한 판단이 없다면 다소 위험하기도 해요. 우리 모두 균형 잡힌 정보를 접하기 위해 다 같이 노력해 봐요!
레옹은 다음에도 좋은 정보로 찾아올게요!!
'나를 위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부 다이어트와 두부의 건강 효과 (0) | 2024.04.08 |
---|---|
투두리스트(To do list)로 J처럼 계획 세우기 (0) | 2024.04.03 |
독서가 유행이라고? 신조어 텍스트 힙(Text Hip) 알아보기 (0) | 2024.04.01 |
산책의 효과와 적절한 걷기 시간 (0) | 2024.03.28 |
냉동 고기 안전하고 맛있게 해동하는 방법 (0) | 2024.03.27 |